티스토리 뷰
목차
조용필 1집 ~ 10집 정복하기 개요정리. 2024년 10월 발매될 조용필의 20집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의 놀라운 55년 경력을 기념하여 그의 첫 번째 앨범부터 열 번째 앨범까지의 개요를 정리했습니다.
그의 진화하는 사운드와 아이코닉한 곡들, 그리고 한국 음악사에서 그의 전설적인 여정을 형성한 음악적 이정표입니다.
조용필 1집 ~ 10집 정복하기
조용필 1집 |
||
발매 | 1980. 03. 20 | |
장르 | 트로트 | |
조용필은 대한민국 최초로 신디사이저를 도입하고, 트로트부터 펑크로까지 다양한 세대들이 좋아하는 여러 장르의 음악을 조용필화하여 선보이며,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1980년 TBC세계가요제 수상 기념음반, 대한민국 최초 100만장 돌파 앨범. | ||
1. 창밖의 여자 | 7.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 |
2. 돌아와요 부산항에 | 8. 정 | |
3. 단발머리 | 9. 대전 블루스 | |
4. 잊혀진 사랑 | 10. 너무 짧아요. | |
5. 한오백년 | 11. 슬픈 미소 | |
6. 돌아오지 않는 강 |
조용필 2집 |
||
발매 | 1980. 12. 05 | |
장르 | 발라드 | |
공식 데뷔작인 1집의 대히트로 조용필은 대한민국 최초로 미국카네기홀에서 공연을 열었다. 음반사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2집 앨범을 그해 발표하였고, 바쁜 활동 중에서도 조용필이 직접 작곡한 촛불이나 간양록의 경우 탁월한 사운드 구성과 다양한 장르의 퓨전으로 빛을 발했다. | ||
1. 축복(촛불) | 7. 오빠생각 | |
2. 잊기로 했네 | 8. 뜻밖의 이별 | |
3. 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 9. 세월 | |
4. 인물현대사 | 10. 슬픈 미소 | |
5. 외로워 마세요. | 11. 만나게 해주 | |
6. 간양록 |
조용필 3집 |
||
발매 | 1981. 01. 01 | |
장르 | 발라드 | |
3집 앨범은 조용필이 본격적으로 음악적 실험을 시도하기 시작한 앨범이다. 고추잠자리의 경우 당시 가요시장에서는 볼 수 없었던 한국적 락과 조용필의 보컬적 기량을 느낄 수 있는 노래로, 큰 반향을 일으키며 라디오에서 24주간 연속 1위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미국 암펙스사 골든릴상 수상. [고추잠자리] KBS 라디오 24주년 연속 1위. | ||
1. 강원도아리랑 | 7. 물망초 | |
2. 고추잠자리 | 8. 미워미워미워 | |
3. 길잃은철새 | 9. 여와남 | |
4. 내이름은구름이여 | 10. 일편단심민들레야 | |
5. 너의빈자리 | 11. 잊을수없는너 | |
6. 님이여 | 12. 황성옛터 |
조용필 4집 |
||
발매 | 1982. 05. 17 | |
장르 | 발라드 | |
대중지향적이었던 기존 앨범들의 한계를 넘어 조용필이 추구하고자 하였던 락을 전면에 내세우기 시작한 앨범으로, 광주민주화 운동의 아픔을 노래한 ‘생명’부터 국악과 락을 접목한 ‘자존심’, 그 외 ‘못찾겠다 꾀꼬리’, ‘비련’ 까지 히트한 곡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 ||
1. 못찾겠다 꾀꼬리 | 7. 자존심 | |
2. 생명 | 8. 산장의 여인 | |
3. 꽃바람 | 9. 비련 (히트) | |
4. 따오기 | 10. 민요메들리 | |
5. 난 아니야 | ||
6. 보고싶은 여인아 |
조용필 5집 |
||
발매 | 1983. 06. 25 | |
장르 | 발라드 | |
위대한탄생 창단멤버들이 대폭 바뀌면서 조용필의 음악은 세련된 사운드로 좀 더 진보하기 시작한다. 한국적 정서를 반영한 ‘한강’, ‘황진이’부터 대중가요 최초로 교과서에 실린 스탠다드 팝 형식의 히트곡 ‘친구여’ 까지 록, 가곡, 트로트, 민요를 아우르는 장르와 뛰어난 해석력으로 대중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다. | ||
1. 산유화 | 7. 황진이 | |
2. 친구여 | 8. 비오는 거리 | |
3. 한강 | 9. 선구자 | |
4. 여자의 정 | 10. 우울한 주말 | |
5. 나는 너 좋아 | ||
6. 이별의 뒤안길 |
조용필 6집 |
||
발매 | 1984. 02. 09 | |
장르 | 발라드 | |
타이틀곡 '정의의 심장'은 듣는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눈물의 파티'는 애시드 스타일의 신디사이저와 펑키하고 리드미컬한 베이스라인이 인상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번 앨범에는 일렉트로닉 오르간과 파격적인 보컬 퍼포먼스가 독특하게 어우러진 얼터너티브 록 곡 'I really Don't Know'도 수록됐다. 이러한 스타일 외에도 발라드, 트로트 등 풍부한 스트링과 브라스, 어쿠스틱 세션이 어우러져 고급스러운 편곡을 선보이며 로맨틱하고 우아한 음악적 경험을 선사한다. | ||
1. 바람과 갈대 | 7. 정의 마음 | |
2. 그대 눈물이 마를 때 | 8. 차리리 학이 되리라 | |
3. 가랑비 | 9. 어떤 결정 | |
4. 눈물의 파티 | 10. 무정유정 | |
5. 내 입술에 그대 눈물 | 11. 정말 모르겠네 | |
6. 나그네 바람 | 12. 영원 속으로 |
조용필 7집 |
||
발매 | 1985. 04. 10 | |
장르 | 락 | |
조용필의 음악적 완성도를 느낄 수 있는 앨범으로, 당시 위대한탄생은 최이철, 김광민, 유재하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 시대에 앞선 다소 혁신적인 곡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용필의 음악적 모태였던 락이 돋보이는 앨범이다. | ||
1. 눈물로 보이는 그대 | 7. 들꽃 | |
2. 어제, 오늘, 그리고 | 8. 사랑하기 때문에 | |
3. 프리마돈나 | 9. 미지의 세계 | |
4. 나의 노래 | 10. 아시아의 불꽃 | |
5. 내가 어렸을 적엔 | 11. 여행을 떠나요 | |
6. 그대여 |
조용필 8집 |
||
발매 | 1985. 11. 15 | |
장르 | 발라드 | |
8집은 흥행보증수표였던 작사 양인자, 작곡 김희갑콤비와 함께 만든 앨범으로 이전 7집과는 완전히 다른 성향의 성격을 지닌다. 기성세대를 위로하는 가사와 조용필만의 트로트 기법으로 수용층을 더 넓혔고, ‘킬리만자로의 표범’ 은 그 당시에는 없던 긴 트랙, 파격적 가사와 멜로디로 다시 한번 조용필의 입지를 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 ||
1. 허공 | 7. 얄미운 님아 | |
2. 킬리만자로의 표범 | 8. 상처 | |
3. 바람이 전하는 말 | 9. 내 청춘의 빈잔 | |
4. 그 겨울의 찻집 | 10. 내 마음 당신곁으로 | |
5. 벌써 잊었나 | 12. 내 가슴에 내리는 비 | |
6. 사람의 만가 |
조용필 9집 |
||
발매 | 1987. 05. 10 | |
장르 | 락, 발라드 | |
록 노래 "Corrugella"와 발라드 "Where Your Feet Stay"는 널리 인기를 얻었으며 후자는 _Radio Star_에 소개되었습니다. 이 앨범은 고딕 록 발라드, 1940년대 팝 클래식, 성인 현대 실내악, 성스러운 스타일의 편곡을 혼합하여 다양하고 혁신적인 음악적 실험을 선보입니다. | ||
1. 마도요 | 7. 타인 | |
2. 진실한 사랑 | 8. 사랑해요. | |
3. 아하! 그렇지 | 9. 떠나가는 배 | |
4. 이별 뒤의 사랑 | 10. 청춘시대 | |
5. 그대 발길 머무는 곳에 | ||
6. 사나이 결심 |
조용필 10집 |
||
발매 | 1988. 05. 28 | |
장르 | 발라드 | |
이번 앨범은 조용필 생애 처음으로 모든 트랙을 자작곡으로 담은 앨범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특히 조수지의 이름으로 알려진 이 노래는 사실 조용필이 조카의 이름을 따서 작곡한 곡이다. 이번 앨범에는 수지에게 바치는 'I Love Suzy' 트랙도 수록됐다. 더욱이 전곡을 해외 세션으로 녹음한 첫 번째 앨범으로, 조씨의 지속적인 음악적 진화와 글로벌 협업을 엿볼 수 있다. | ||
1. 서울 서울 서울 | 7. 회색의 도시 | |
2. 나도 몰라 | 8. 목련꽃 사연 | |
3. 모나리자 | 9. I Love You | |
4. I Love 수지 | ||
5. 우주여행 X | ||
6. 서울 1987년 |
조용필의 1집부터 10집 앨범까지, 한국 최고의 가수 중 한 명으로 성장한 그의 놀라운 여정을 살펴보았습니다.
거의 매년 앨범을 발매하는 그의 노력과 헌신은 분명합니다.
오랫동안 기다려온 그의 20번째 앨범을 기대하면서 그의 11번째부터 19번째 앨범까지 자세히 살펴보는 동안 계속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화이팅!
반응형